장령시문(長寧詩文, 저자 김규정) 위문관련 시문(12)
和贈李大來 達運(화증이대래 달운)
이대래 달운 의 시운에 화답하여 주다.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
克己關頭是峻嶺(극기관두시준령)
극기의 길목은 험한 고개라지만
直前要透莫由逕(직전요투막유경)
곧장 나가 뚫어야지 좁은 길 가지마라.
憑君恰到高頂望(빙군흡도고정망)
그대 의지해 높은 곳 올라 바라보니
宇內烟塵本自靜(우내연진본자정)
천하의 전란도 본래는 절로 고요하다.
*.李達運(영조26년 1750 ~ 정조19년 1795) 字는 大來, 號는 西塢, 仁川人, 李宗旭의 子.
*.魏伯珪(영조3년 丁未1727~정조22년 戊午1798) 향년 72
字는 자화(子華), 號는 존재(存齋) 계항(桂港). 본관은 長興. 長興府 古邑坊 桂春洞 출신. 할아버지는 삼족당(三足堂) 위세보(魏世寶)이며 아버지는 진사 위문덕(魏文德)이다. 母는 康津縣 平海吳氏 吳日三의 女이고 配는 金海金氏 金始聲의 딸이다. 子는 魏道立 魏道及이다.
39세 때(영조41년 1765) 을유 식년시 생원 3등 59위(89/100) 했다.
과거에 계속 응시했으나 실패했고 그 뒤 68세 때(정조18년 1794) 위유어사(慰諭御使) 서영보(徐榮輔)의 啓에 의하여 저술과 덕행이 정조에게 알려져 70세 때(정조20년 1796) 선공감 부봉사(繕工監副奉事),옥과 현감(玉科縣監),장원서 별제(掌苑署別提) 등을 차례로 지냈다.
학통은 충청도 병계 윤봉구로 이어지는 노론계이나 향촌 생활을 통해 형성된 현실 비판 의식이 저술에 나타나고 있어 학문적 성격은 경세실학의 색채가 짙다.
문집은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에서 <國譯 存齋集>을 2013년 7월 26일 출간했다.
번역자 注)
호남의 4대 실학자는 순창의 여암(旅菴) 신경준(申景濬 1712~1781 高靈), 장흥의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 1727~1798 長興),고창의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 1729~1791),화순의 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 1781~1844 晋州)이 꼽힌다.
5대 실학자는 해남의 해금(海錦) 오달운(吳達運 1700~1747 同福)을 포함시킨다.
재치(財痴) 쓰고 옮김...
'장흥 위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宿冠寺贈僧(숙관사증승)-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 (0) | 2017.01.29 |
---|---|
次李忠武公刀字韻(차이충무공도자운)-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 (0) | 2017.01.29 |
移菊送恕菴 李宗旭 因呈一絶(이국송서암 이종욱 인정일절)-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 (0) | 2017.01.27 |
■절충장군공(諱 壽徵)교지■ (2) (0) | 2017.01.23 |
■절충장군공(諱 壽徵)교지■ (1) (0) | 2017.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