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항(姜在恒·1689~1756)이 쓴 '현조행(玄鳥行)'이란 시의 사연이 흥미롭다. 제비 한 쌍이 새끼 다섯 마리를 길렀다. 문간방 고양이가 틈을 노려 어미 암컷을 잡아먹었다. 짝 잃은 제비가 슬피 울며 넋을 잃고 지내더니 어느새 다른 짝을 구해 새살림을 차렸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제가 기르던 새끼를 발로 차서 마당에 떨어뜨린 것이다. 죽은 새끼의 주둥이를 벌려보니 입 안에 날카로운 가시가 가득했다. 그 가시가 배를 찔러 잘 자라던 다섯 마리 새끼가 한꺼번에 죽었던 것이다. 새살림에 방해가 되는 새끼들이 거추장스러워 그랬을까? 아비는 제 새끼들에게 벌레를 물어다 주는 대신 가시를 물어다 먹였다.
시인은 이 대목에서 "입 더듬어 먹은 물건 살펴봤더니, 날카로운 가시가 배에 가득해. 내 마음 이 때문에 구슬퍼져서, 한동안 손에 들고 못 놓았다네. 지붕에 불 지르고 우물을 덮었다던, 예부터 전하던 말 헛말 아닐세(探口見食物, 棘刺滿腹藏. 我心爲之惻, 歷時久未放. 塗廩與浚井, 古來傳不妄.)"라며 분개했다. 옛날 순임금의 아버지 고수(瞽叟)도 새장가를 들고 나서 아들에게 곡식 창고를 고치라고 지붕에 올라가게 해놓고 아래서 불을 지르고, 우물을 치게 하고는 이를 덮어 죽이려 했던 일이 있었다.
위백규(魏伯珪·1727~1798)도 '잡저'에서 말했다. "제비는 암수 중 한쪽이 죽어 새 짝을 얻으면 반드시 가시를 물어다 이전 짝의 새끼에게 먹여 죽인다." 조선시대에 이 같은 생각이 꽤 널리 퍼져 있었다는 뜻이다. 새 아내가 전처소생의 자식을 구박하고 학대하는 일이 워낙 흔하다 보니, 제비의 행동에 이를 투사하여 보았던 셈이다.
실제 짝을 잃은 제비는 양육을 포기할 수밖에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장흥 위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위씨 2016 청장년 학생 하계수련회 첫날(20160805)... (0) | 2016.08.10 |
---|---|
2016년 장흥위씨 학생수련회 안내 (0) | 2016.07.11 |
송광사 원감국사보명탑(松廣寺 圓鑑國師寶明塔)답사(20160605)... (0) | 2016.06.10 |
위씨산악회 발대식(20160521)... (0) | 2016.05.17 |
종군화교 애국지사 위서방((魏緖舫) 위수팡,웨이수팡)... (0) | 2016.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