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위씨...
경기도 양평군 용문사 정지국사비명(正智國師碑銘)에 기록된 魏氏 3분...
HL3QBN
2023. 2. 9. 20:30
경기도 양평군 용문사 정지국사비명(正智國師碑銘)에 기록된 魏氏 3분...
제보자 : 위재성 화도 유사공파 종친
야운 위이환 종친
유사공파의 위재성 화도종친이 오래전(20대때) 산행시에 용문사 정지국사비(보물 531호 1398년(조선 태조7년)건립)에 기록된 시주자 명단에 '삼사좌윤(고려시대 종3품) 위안 위길안 위권' 세분의 위씨가 기록되어 있음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물론 세분의 위씨는 아직까지 족보를 포함한 어디에도 기록이 전하지 않고 있는 분들입니다.
고려말기 조선초기에 우리 장흥위씨 족보를 포함한 모든 자료는 오직 합문판사공(14세 휘 충)만이 계실 뿐이지 다른분에 대한 존재여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태입니다...
몇년전 보물과 국보로 지정된 여러권의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 조선개국원종공신 위인주 위인보 위신충과 함께 이번에 정지국사비에서 발견한 위안 위길안 위권에 대해서 장흥위씨 종친들의 관심과 함께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합니다...
정지국사 부도 및 비는 용문사에서 약 300m 떨어진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지국사(1324∼1395년)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입니다. 정지국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황해도 재령 출신이며 중국 연경에서 수학하였고 조선 태조 4년에 입적하였는데 찬연한 사리가 많이 나와 태조가 이를 듣고 ‘정지국사’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부도와 비는 80m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데 비문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인 권근(權近)이 지었습니다. 처음에는 정지국사부도에서 20m 아래 자연석 바위에 세워 놓았는데, 빠져 나와 경내에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 지금의 위치에 세웠다고 합니다.
아래사진의 정지국사비는 2018년 양평군에서 3D스캐너로 촬영한 것 입니다.
2018년 양평군에서 발행한 정지국사비에 대한 PDF보고서를 첨부합니다.
탁마재 재치...
제보자 : 위재성 화도 유사공파 종친
야운 위이환 종친
유사공파의 위재성 화도종친이 오래전(20대때) 산행시에 용문사 정지국사비(보물 531호 1398년(조선 태조7년)건립)에 기록된 시주자 명단에 '삼사좌윤(고려시대 종3품) 위안 위길안 위권' 세분의 위씨가 기록되어 있음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물론 세분의 위씨는 아직까지 족보를 포함한 어디에도 기록이 전하지 않고 있는 분들입니다.
고려말기 조선초기에 우리 장흥위씨 족보를 포함한 모든 자료는 오직 합문판사공(14세 휘 충)만이 계실 뿐이지 다른분에 대한 존재여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태입니다...
몇년전 보물과 국보로 지정된 여러권의 조선개국원종공신녹권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 조선개국원종공신 위인주 위인보 위신충과 함께 이번에 정지국사비에서 발견한 위안 위길안 위권에 대해서 장흥위씨 종친들의 관심과 함께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합니다...
정지국사 부도 및 비는 용문사에서 약 300m 떨어진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지국사(1324∼1395년)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입니다. 정지국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황해도 재령 출신이며 중국 연경에서 수학하였고 조선 태조 4년에 입적하였는데 찬연한 사리가 많이 나와 태조가 이를 듣고 ‘정지국사’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부도와 비는 80m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는데 비문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인 권근(權近)이 지었습니다. 처음에는 정지국사부도에서 20m 아래 자연석 바위에 세워 놓았는데, 빠져 나와 경내에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 지금의 위치에 세웠다고 합니다.
아래사진의 정지국사비는 2018년 양평군에서 3D스캐너로 촬영한 것 입니다.
2018년 양평군에서 발행한 정지국사비에 대한 PDF보고서를 첨부합니다.
탁마재 재치...